개인의 신용도는 올크레딧(KCB)와 나이스지키미(NICE평가정보)에서 평가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올크레딧과 나이스평가정보의 평가에 따라 대출이율, 신용카드 발급 등이 결정됩니다. 

우리가 대출을 받을때 대출회사(은행, 신용카드사, 캐피털사)는 제휴된 신용평가회사 1곳 또는 2곳 모두의 신용정보를 참고합니다. 당연히 신용평가사의 신용평가정보 이외에도 대출회사 자체적으로 구축된 개인별 신용정보도 함께 활용합니다. 올크레딧과 나이스지키미는 평가기준이 각기 달라서 신용점수가 서로 다르게 나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회사 모두의 신용평점에 관심을 갖고 신용관리를 철저히 해야합니다. 내 신용관리는 본인의 책임입니다.


대부분 무료 신용조회는, 올크레딧(KCB) 점수입니다

회원가입을 하면 무료로 신용등급을 조회해주는 업체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토스(Toss), 카카오뱅크, 뱅크샐러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세업체 모두 올크레딧(KCB)과 제휴를 맺고 신용평점을 가져와 제공하기 때문에 3곳의 점수는 모두 동일합니다. 


올크레딧(KCB)의 신용조회 점수만 확인하지 마시고 NICE지키미의 신용조회 점수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용점수를 조회해주는 어플에서는 NICE 신용등급 확인이 불가능 합니다. NICE지키미의 신용조회는 NICE지키미에서 하면 됩니다. 물론 무료로 가능합니다.


NICE지키미 무료 신용조회 하는 방법

NICE지키미에서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를 해줍니다. 그런데 무료 신용조회 메뉴를 찾기 어렵게 해놨습니다. 아무런 생각없이 '체험하기'나 '신용등급 조회'를 클릭하면 유료서비스 신청하는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회원) /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비회원)


올크레딧(KCB)의 신용조회 점수는 845점인데, 나이스지키미(NICE평가정보)의 신용조회 점수는 890점으로 나오네요. 두 신용평가회사의 점수가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약간의 신용점수 차이가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